이전 몇 번에 걸쳐서 중구난방 올렸던 글들을 정리해본다.
먼저, 용어 정리부터.
- TMG는 "Microsoft Forefront Threat Management Gateway" 서버의 약자로 현재 TMG 2010 서버가 시판중이다. 이전 버전으로ISA(Internet Security and Acceleration) 2006 서버가 있다. ISA 서버는 32비트용, TMG 서버는 64비트용이라 생각하면 쉽다.
- IPsec은 OSI 7 계층(Layer) 개념 중 제3계층(L3; 네트워크 = IP Layer) 수준의 "IP 보안(IP Security)"의 줄임말로, 보통 VPN 접속에 주로 사용되는 개념인데 꼭 VPN이 아니더라도 특정 포트로 두 지점 간 안전한 통신을 하고자 할 때 종종 사용되는 높은 수준의 보안 기법이다. IPsec에는 PSK(Pre-Shared Key) 또는 클라이언트 인증서가 사용된다. ("IPSec"이라고도 쓰고 "IPsec"이라고도 쓰는데 개인적으로는 IPsec으로 s를 소문자로 쓰는 것이 더 깔끔하고 있어보인다.)
- VPN은 "가상 개인 네트워크(Virtual Private Network)"의 약자로, 인터넷 환경에서 기업 내부망을 사용할 수 있게 해주는 기술 또는 장치다. VPN이라 하면 보통 VPN 장비를 가리키며 VPN으로 연결되고 나면 기업 내부망 IP 주소를 얻어 내부망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.
- IPsec VPN vs. SSL VPN: IPsec VPN은 L2TP/PPTP와 같이 제2계층(L2), 즉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의 VPN 보안 접속 프로토콜로 제3계층(L3; 네트워크) 이상의 모든 통신 영역을 커버한다. 즉, 연결된 다음에는 네트워크(IP주소) 자체가 바뀌어 마치 기업 내부망으로 자리를 옮겨진 것과 동일하게 동작하는 개념이다. 이에 반해 SSL VPN은 그 이름에서도 알 수 있듯 제6계층(L6), 즉 프리젠테이션 계층에서의 VPN 보안 접속 프로토콜로 제7계층(L7; 응용 = HTTP, FTP 등) 만을 커버한다. 즉, SSL은 HTTP에 적용되므로 웹 브라우저를 통한 HTTPS 통신만 보호하는 개념이다. 이 수준의 VPN은 사실 VPN이라 보기 어렵고 그냥 일반 SSL과 개념적으로 별 차이가 없다. 다만 사내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들을 HTTPS를 통해 외부에서 접속할 수 있게 해주는 것뿐이다. 보통 이런 것을 Reverse Proxy 또는 Web Publishing이라고 부르기도 한다. 그러나 요즘은 이 SSL VPN의 개념이 확장되어 그 커버 가능 영역이 IPsec만큼이나 커졌다. 즉, 일단 웹 브라우저로 연결을 시작하긴 하지만 그 지점에서 별도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을 다운로드받아 실행하여 L4 또는 L3 영역까지 커버하는 식으로 변종 IPsec VPN처럼 동작하게 하고 있는 것이 추세인 듯 하다. 이쯤되면 사실상 SSL VPN과 IPsec VPN은 별 차이가 없어졌다고도 볼 수 있다.
- PPTP는 "두 지점 연결 터널링 프로토콜(Point-to-Point Tunneling Protocol)"의 약자로, ID/Password를 이용하여 접속하는 가장 일반적이고 간단한 방식의 VPN 접속 방식이다.
- L2TP는 "제2계층 터널링 프로토콜(Layer 2 Tunneling Protocol)"의 약자로, L3 이하 영역을 커버하는 점에서는 PPTP와 동일하지만 그 접속 방식에서 ID/Password와 함께 2FA(Two-Factor Authentication)으로써의 PSK 또는 클라이언트 인증서를 추가로 사용함으로써 통신을 더욱 강력하게 보호할 수 있어 보통 L3 수준의 IPsec과 결합하여 L2TP/IPsec으로 부른다. PSK를 사용하는 방식을 편의상 "L2TP/IPsec PSK", 그리고 클라이언트 인증서를 사용하는 방식을 "L2TP/IPsec RSA"라고도 부른다.
용어 정리는 이쯤하고 TMG에 대한 이야기로 넘어가자면,
TMG VPN은 PPTP, L2TP 및 SSTP(Secure Socket Tunneling Protocol; = SSL VPN)를 모두 지원한다.
또, TMG VPN 서버에 클라이언트 인증서를 이용하여 L2TP로 접속하기 위해서는 다음의 두 가지를 주의해야 한다.
- TMG 서버에 설치할 서버 인증서는 확장 응용 프로그램 정책에 반드시 클라이언트 인증, IP 보안 IKE 중개, 서버 인증의 사용이 활성화되어 있어야 한다.
- 클라이언트 인증서는 확장 응용 프로그램 정책에 반드시 클라이언트 인증, IP 보안 IKE 중개의 사용이 활성화되어 있어야 한다.
기타 주의해야 할 사항들이 더 있지만 위의 두 가지가 가장 중요하다.
다음은, TMG VPN에 접속하는 클라이언트에 대한 정리.
- Windows XP 이상의 모든 Windows에서는 TMG VPN에 PPTP, L2TP/IPsec PSK, L2TP/IPsec RSA, SSTP 방식으로 접속할 수 있다.
- Windows Mobile 7 이상의 대부분 모바일 기기는 TMG VPN에 PPTP, L2TP/IPsec PSK, L2TP/IPsec RSA 방식으로 접속할 수 있다.
- Android 2.3 이상의 대부분 모바일 기기는 TMG VPN에 PPTP, L2TP/IPsec PSK, L2TP/IPsec RSA 방식으로 접속할 수 있다.
- Mac OS X 장치 및 iOS 모바일 기기는 TMG VPN에 PPTP, L2TP/IPsec PSK 방식으로 접속할 수 있다.
위에서부터 하나씩 빠진다.
한 가지 특이한 점은, Android 모바일 기기에서 TMG에 정상 접속하려면 TMG 서버를 패치해줘야 한다는 점이다. 이 내용은 이전 글에서 이미 다루었다.
참조: http://blog.daum.net/thermidor/8933139
^^^^^^^^^^^^^^^^^^^^^^^^^^^^^^^^^^^^^^^^^^
또, Mac OS X 장치 및 iOS 모바일 기기에서는 TMG VPN에 L2TP/IPsec RSA 방식으로 접속할 수 없다. 그 이유 역시 이전 글에서 이미 다루었다.
참조: http://blog.daum.net/thermidor/8933151
^^^^^^^^^^^^^^^^^^^^^^^^^^^^^^^^^^^^^^^^^^
'Tech: > Server·II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AD RMS를 이용한 파일 보안/암호화 (1) | 2013.03.26 |
---|---|
Exchange ActiveSync 장치 목록에서 IMEI 조회 (0) | 2013.03.18 |
Outlook Anywhere 접속: IPSec을 통한 2FA(2-Factor Authentication) (0) | 2013.03.06 |
MS CA를 이용한 주체대체이름(Subject Alternative Name) 추가 요청 방법 (0) | 2013.01.30 |
TMG Android L2TP VPN 접속 끊어지는 현상 해결 (0) | 2013.01.25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