태아 / 영아 / 유아 / 어린이 / 청소년 / 성인 / 청년 / 장년 / 중년 / 노인 어떻게 구분할까요?
① 태아 : 임신 2개월 이후 인체의 모양이 분명히 된 후부터 탄생할 때까지를 말합니다. 엄마 뱃속에 있는 아기를 흔히 일컫는 말이지요. 그렇다면 태아 이전은 무엇이라고 부르나요? 수정이 이루어진 직후의 생식 세포를 접합체(zygote)라고 부른답니다.
② 영아 : 젖을 먹는 어린 아기를 말하는데 ‘젖먹이’, ‘신생아’, ‘아기’ 등 다양한 이름으로 불립니다. 인간 발달 단계 중 가장 어린 시절로 주로 걷기 전 또는 만 1세 전을 일컫습니다.
③ 유아 (幼兒) : 약 생후 1년부터 6년까지의 어린 아이를 말합니다. 조심할 점은 유아(乳兒)의 경우 영아(嬰兒)를 뜻한다는 것입니다. 우리말은 같지만 한자가 다른 점에 주의해야 합니다.
④ 어린이 : 약 생후 6년부터 13년까지의 아이를 말한다. 보통 초등학생을 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. 흔히 아동이라고 합니다. 대한민국의 정통망법에는 만 14세 미만을 아동으로 정의하고 있습니다.
⑤ 청소년 : 약 생후 12년부터 18년까지의 사람을 말합니다. 보통 중고등학생을 뜻합니다.
⑥ 청년 : 약 생후 19년부터 30년을 기준으로 보는 어른을 말합니다. 만19세부터 선거권이 주어지고, 성인으로 대접받습니다.
⑦ 장년 : 약 생후 30년부터 45년을 기준으로 보는 어른을 말합니다.
⑧ 중년 : 약 생후 45년부터 64년을 기준으로 보는 어른을 말합니다.
⑨ 노인 : 약 생후 64년부터 죽음에 이르기까지를 기준으로 보는 어른을 말합니다. 그래서 우리가 고령화 사회, 고령 사회, 초고령 사회 등을 따질 때 65세이상의 인구가 전체 인구 중에 차지하는 비율을 바탕으로 따지게 됩니다.
그런데 사실 이런 구분은 별 의미가 없어서 학자에 따라서는 다음과 같이 구분하기도 한다.
① 청년기 : 대체로 13 ·14세부터 22 ·23세에 걸치는 시기를 가리킨다.
② 장년기 : 보통 30~60세까지를 말한다. 성인기라고도 한다.
③ 중년기 : 일반적으로 약 40∼60세까지를 중년기로 본다.
④ 노년기 : 45∼55세를 초로기라 하고, 65∼75세를 노쇠기의 문턱으로 보며, 그 사이를 노화기라고 한다.
출처 : | 이선배독서교실 | 글쓴이 : 흐르는 물 원글보기 | ||
메모 : | 중년이 나이가 많냐, 장년이 나이가 많냐? 이런 것도 다 논란거리가 되더군요. 좀 애매한 점이 없지는 않는 듯... |
'낙서장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구글에서 단어의 뜻이 알고 싶을 때 검색 팁 (0) | 2013.02.18 |
---|---|
2013년 새해, 한파 그리고 보일러 (0) | 2013.01.03 |
인문학도와 공학도 (0) | 2012.02.27 |
트위터와 페이스북 in Korea (0) | 2011.12.19 |
온라인 게임 (0) | 2011.12.06 |